운전면허증 따는 법
이 글에선 수능을 끝낸 수험생분들을 위해서 운전면허증 따는 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운전면허를 준비 중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취득 절차
먼저 운전면허증을 따기 위해서는 교통 안전 교육, 신체 검사, 학과 시험, 기능 시험, 도로 주행 이렇게 5개의 과정을 이수해야 하고 3가지의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취득 방법으로는 학원을 등록하는 것과 직접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접수하고 응시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학원에 등록하면 모든 과정을 알아서 해 주기 때문에 편안합니다. 다만 비용이 서울 기준으로 평균 80만 원대 이상이기 때문에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는 게 단점이고요.
반면에 면허시험장에서 직접 방문 접수 및 응시를 하게 된다면 운전면허증 취득까지 드는 비용이 약 10만 원 안팎이라 보다 저렴합니다.
물론 모든 절차를 독학으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어요. 그래서 꿀팁을 알려드리자면 바로 기능 시험만 학원에서 배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 운전면허학원
- 장점 : 모든 과정을 알아서 해줘서 굉장히 편안함
- 단점 : 비용이 비싼 편 (서울 기준 80만원 이상)
- 면허 시험장
- 장점 : 저렴한 비용, 운전면허증 취득까지 10만원 안팎
- 단점 : 모든 절차를 독학해야 해서 난이도가 높음
절약 꿀팁
학원비는 최대 20만 원대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즉 안전 교육과 신체 검사, 학과 시험은 혼자서 준비하시고요. 차를 직접적으로 조작하게 되는 기능 시험 준비부터는 학원을 다니는 방법입니다.
기능 시험 준비 단계에서는 액셀과 브레이크, 핸들 등 실제 자동차의 기능을 배우기 때문에 감각을 익히기 위해서는 선생님이 있는 게 좋아요. 여기서 추가 팁을 드리자면 기능 시험 연습까지는 학원에서 하고 응시는 면허시험장에서 직접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응시료가 학원에서는 5, 6만 원 정도 하고요. 면허 시험장은 2만 5,000원이 듭니다.
- 응시료
- 학원 : 5~6만원
- 면허시험장 : 25,000원
시험은 학원이나 면허시험장이나 모두 감독관 입회하에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어디서 하든 간에 합격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기능 시험을 통과하게 된다면 연습 면허가 발급되고요. 이때부터는 운전면허증 소지자가 동승한다면 도로주행까지 할 수 있습니다.
즉 학원에서는 빠르게 운전 감각만 익히고 나머지 절차는 독학한다는 게 포인트입니다.
취득 과정
교통안전교육
운전면허증 취득을 위한 첫 번째 과정은 교통 안전 교육입니다. 이거는 학과 시험에 응시하기 전 필수 교육이고요.
응시 방법은 안전 운전 통합 민원 홈페이지 내에서 신청하시거나 아니면 면허 시험장 현장에서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강료는 참고로 무료예요. 그리고 준비물은 신분증 하나입니다. 면허 취득 절차 중 가장 쉬운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교육에 참여하게 되면 1시간 동안 교통 안전과 관련된 영상을 시청하게 되고요. 이때 학과 시험에 나올 법한 유형들도 알 수 있기 때문에 집중해서 들으셔야 합니다.
신체검사
다음으로 두 번째는 신체 검사입니다.
- 비용
- 1종 7,000원
- 2종 6,000원
신체 검사는 도로 주행에 적합한 건강을 가지고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입니다.
비용은 1종이 7,000원, 2종이 6,000원입니다.
주로 면허 시험장에서 바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지정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신체 검사 결과지를 받아서 제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신체 검사 때 검사하는 항목은 바로 시력인데요. 안경을 쓴 교정 시력 기준으로 1종은 양안 0.8 이상, 각안 0.5 이상 2종은 양안 0.5 이상이 나와야 합니다.
학과 시험
다음으로 세 번째는 학과 시험입니다. 학과 시험이란 필기 시험을 뜻해요.
응시 방법은 안전 운전 통합 민원 사이트에서 예약하시거나 면허 시험장에서 응시 시간을 선택하는 방법 이렇게 2가지가 있습니다.
비용은 1만 원이에요. 그리고 준비물은 응시 원서와 6개월 이내에 촬영한 증명사진 3장입니다.
여기서도 꿀팁을 드리자면 교통 안전 교육과 신체 검사, 학과 시험은 하루에 몰아서 처리하시는 게 편안합니다. 이거는 예약을 잘하시만 하면 돼요.
아무튼 학과 시험은 총 40개의 객관식 문제를 40분 안에 푸는 방식입니다.
- 문제 유형은 문장만 읽고 푸는 문장형 21문항
- 그림을 보고 푸는 일러스트형 6문항
- 사진을 보고 푸는 사진형 7문항
- 그리고 표지를 보고 푸는 안전 표지형 5문항
동영상을 보고 푸는 동영상형 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험은 컴퓨터로 보고요. 마우스나 아니면 터치스크린으로 체크하는 방식입니다.
- 1종 보통은 70점 이상 합격
- 2종 보통은 60점 이상 합격
학과 시험 준비는 문제집이나 어플, 유튜브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기능 시험
네 번째는 기능 시험입니다. 기능 시험부터는 직접 차를 운전하기 때문에 가장 긴장되는 구간입니다. 기능 시험도 학과 시험과 동일하게 인터넷이나 현장에서 접수할 수 있고요. 응시료는 2만 5,000원입니다.
- 1종 보통은 수동 변속기가 적용된 1톤 트럭 사용
- 2종 보통은 자동 변속기가 적용된 승용차 사용
기능 시험을 볼 때는 차량에 혼자 탑승해서 진행하게 되고요.
합격 점수는 80점 이상, 제한 시간은 9분 40초입니다.
시험이 시작되게 되면 차량에 탑승해서 안전벨트 체결, 전조등, 방향지시등, 와이퍼 등 기초적인 조작법을 테스트하게 되는데요. 차량에 탑재된 지시 기기의 음성에 맞춰서 제한 시간 내에 진행하시면 됩니다.
차량이 출발한 이후에는
- 돌발 음성에 맞춰서 정지하는 돌발 정지
- 경사로에 진입해서 잠시 정차했다가 출발하는 경사로 코스
- 신호 교차로 진입 전에 정지선 준수
- 후진해서 주차하는 직각 주차
- 교차로 신호에 맞춰서 좌회전
- 제한 속도에 맞춰서 가속과 감속을 하는 구간
위와 같은 운전면허증 테스트 항목이 나뉘게 됩니다.
2종 보통은 어려운 구간이 거의 없지만 1종 보통은 수동 변속기를 다루기 때문에 시동 꺼짐이나 경사로 재출발 등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연습 면허
다음으로 기능 시험에 합격하셨다면 연습 면허가 발급됩니다. 임시 자격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발급비는 4,000원이고 유효 기간은 1년입니다.
1년 이내에 면허를 취득하지 않으면 효력이 상실된다는 뜻이에요.
이 연습 면허 발급 후에는 도로 주행 연습 면허 취득 2년 이상 동승자가 1명 이상 탑승한 상태에서 가로 30cm x 세로 11cm 이상의 청색 바탕에 노란색 글씨로 된 주행 연습 표지를 운전석 유리창 아래와 뒷유리창 중앙 상단에 부착하면 도로에 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험 같은 경우는 특약 등을 이용해서 일일 보험으로 운전자 등록을 하시면 돼요.
가족이나 주변 도움을 받을 수 있으신 분들은 학원 외에 이렇게 자체적으로 준비하시는 것도 방법이고요. 학원 등록자일 경우에는 도로 주행 법정 이수 시간이 6시간입니다.
보통은 3일 정도에 걸쳐서 2시간, 3시간, 2시간 이렇게 가장 많이 진행을 하십니다. 바쁘신 분들은 이틀 만에 몰아서 하시기도 해요. 여기서 꿀팁은 도로 주행 연습 후에 어렵고 자주 감점되는 부분들을 오답 노트로 만들어서 코스별 주행 영상을 보면서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도로 주행
드디어 마지막 도로 주행입니다. 도로 주행을 통과해야 운전면허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관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도로 주행은 실제 도로에서 5km 이상 정해진 코스를 주행하는 방식이고요. 운전 능력과 교통법규 준수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코스는 보통 A, B, C, D 이렇게 4개 중에 랜덤으로 정해지게 되는데요. 시험 당일 어떤 코스가 당첨될지 모르니까 모든 코스를 외우시는 게 합격의 지름길입니다.
시험이 시작됐다면 기능 시험처럼 안전벨트 체결 및 차량의 기초 조작을 해야 하고요. 출발 후에는 채점용 태블릿의 안내에 맞춰서 주행하시면 됩니다. 도로 주행에는 감독관 1명과 참관인 1명이 동승하게 되고요.
보통 A 코스의 도착지는 B, C 코스의 도착지는 D이기 때문에 B 코스나 D 코스가 당첨되신다면 앞 응시자가 운전하는 것을 보면서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됩니다. 참고로 도로 주행 시험은 제한 시간이 없기 때문에 최대한 안전하게 운전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도로 주행 중에 주 감점 요인은
- 기어 미중립,
- 사이드 미러 체크 불량,
- 도로 정지선 위반 등이 있고요.
태블릿으로 자동 감점되는 요소들과 조수석에서 동승한 감독관이 수기로 감점하는 요인이 있기 때문에 꼼꼼히 운전해야 합니다.
그리고 11대 실격 요소가 있는데요. 신호 위반이나 중앙선 침범 등 입니다.
- 11대 실격 요소
- 3회 이상 엔진 정지, 3회 이상 급브레이크, 3회 이상 급조작 급출발
- 안전거리 미확보 등으로 교통사고 위험이나 교통사고 야기
- 음주
- 휴대전화 사용 등 교통안전과 소통을 위한 시험과의 이행 지시 불응
- 신호위반
- 중앙선 침범
- 보행자 보호위반
- 어린이 통학버스 보호 위반
- 지정속도 위반, 어린이 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에서 지정속도 위반
- 좌석 안전찌 미착용
- 긴급자동차 진로 미양보
실격이 되게 된다면 시험을 재응시해야 하기 때문에 정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7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입니다.
면허증 발급
도로 주행까지 합격했다면 이제 운전면허증을 발급받는 일만 남았겠죠. 면허증은 합격 후에 민원실에 가서 당일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준비물
- 응시 원서
- 주민등록증
- 6개월 이내 촬영한 증명사진 1장
- 발급 수수료 1만원
그리고 2019년 이후로는 영문 운전면허증이 도입되면서 앞면은 한국어, 뒷면은 영문으로 된 운전면허증이 나오게 되는데요. 괌이나 싱가포르, 영국 등 약 30개국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접수 후에 10분 정도 기다리면 운전면허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원에서 합격하셨을 때는 1, 2일 후에 해당 학원에서 수령하시거나 당일 합격 증명서를 들고 근처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동일하게 주민등록증과 증명 사진만 있으시다면 바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이렇게 운전면허증 취득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어렵게 운전면허증을 딴 만큼 그동안 공부하고 배웠던 것들 잊지 않고 항상 안전 운전하셨으면 좋겠습니다.